카테고리 보관물:

DP 포트(Display Port)를 연결했을 때 모니터가 어두워지는 문제

그래픽카드로 RX 570 4GB를 사용 중인데, 근래에 새로 영입한 모니터를 연결했더니 HDMI로는 최대 해상도를 지원하지 않아서(케이블 문제인 듯?) 디스플레이 포트를 연결해서 사용 중이다. 그런데 유튜브를 비롯한 동영상 밝기가 HDMI로 연결했을 때에 비해 훨씬 어둡게 나오는 문제가 발생했다. 어두운 부분은 제대로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불편해서 문제를 해결해보기로 하고 적극적으로 찾아본 결과, 결국엔 색 공간 문제였던 것 같다.

AMD 소프트웨어에서 아래 부분의 ‘픽셀 형식’ 항목이 처음에는 ‘RGB 4:4:4 Pixel Format PC Standard (Full RGB)’였는데,

이 항목을 ‘RGB 4:4:4 Pixel Format Studio (Limited RGB)’로 변경하니 문제가 해결됐다.

유튜브 음악 영상에서 고음질 ogg 파일 추출하기

지금 사용 중인 유튜브 요금제가 유튜브 프리미엄도 아니고 휴대전화 요금제도 데이터 무제한이 아니라서 외출 시 감상할 목적으로 유튜브 음악 영상에서 ogg 파일을 추출해서 휴대전화에 보관해 두고 듣는 방법을 찾아봤다.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는 yt-dlp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 https://github.com/yt-dlp/yt-dlp에서 프로그램을 내려받고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yt-dlp.exe -F <유튜브 영상 URL>

다음과 같이 대상 유튜브 영상의 각종 영상/음성 관련 정보가 나온다.

$ yt-dlp.exe -F https://www.youtube.com/watch?v=<video ID>
[youtube] Extracting URL: https://www.youtube.com/watch?v=<video ID>
[youtube] <video ID>: Downloading webpage
[youtube] <video ID>: Downloading ios player API JSON
[youtube] <video ID>: Downloading android player API JSON
WARNING: [youtube] Skipping player responses from android clients (got player responses for video "aQvGIIdgFDM" instead of "<video ID>")
[youtube] <video ID>: Downloading player edea0cc6
[youtube] <video ID>: Downloading m3u8 information
[info] Available formats for <video ID>:
ID  EXT   RESOLUTION FPS CH │   FILESIZE  TBR PROTO │ VCODEC         VBR ACODEC      ABR ASR MORE INFO
───────────────────────────────────────────────────────────────────────────────────────────────────────────────────
sb3 mhtml 48x27        0    │                 mhtml │ images                                 storyboard
sb2 mhtml 80x45        0    │                 mhtml │ images                                 storyboard
sb1 mhtml 160x90       0    │                 mhtml │ images                                 storyboard
sb0 mhtml 320x180      0    │                 mhtml │ images                                 storyboard
233 mp4   audio only        │                 m3u8  │ audio only         unknown             [ko] Default
234 mp4   audio only        │                 m3u8  │ audio only         unknown             [ko] Default
139 m4a   audio only      2 │   22.15MiB  49k https │ audio only         mp4a.40.5   49k 22k [ko] low, m4a_dash
249 webm  audio only      2 │   24.01MiB  53k https │ audio only         opus        53k 48k [ko] low, webm_dash
250 webm  audio only      2 │   31.75MiB  70k https │ audio only         opus        70k 48k [ko] low, webm_dash
140 m4a   audio only      2 │   58.79MiB 129k https │ audio only         mp4a.40.2  129k 44k [ko] medium, m4a_dash
251 webm  audio only      2 │   61.90MiB 136k https │ audio only         opus       136k 48k [ko] medium, webm_dash
...

여기서 ACODEC이 ‘opus’로 표시된 데이터가 ogg 데이터일 텐데, 이 데이터를 내려받아 ogg 파일로 저장하면 된다. 특정 데이터를 받으려면 첫 번째 칼럼인 ID를 이용하면 되고, 여기서는 ID가 251인 파일을 다음 명령어로 내려받는다.

yt-dlp.exe -f 251 <유튜브 영상 URL>

그런데 위와 같은 경우 확장자(EXT)가 webm이니 webm 파일로 내려받게 되므로 이 파일에서 오디오 데이터만 추출하려면 ffmpeg를 이용하면 된다. ffmpeg가 설치돼 있다는 가정하에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ogg 파일이 추출된다.

ffmpeg -i "input.webm" -vn -acodec copy "output.ogg"

그럼 변환된 ogg 파일을 플레이어에 넣고 재생하면 된다.

추가로 유튜브 영상이 여러 곡으로 구성된 경우라면 변환된 ogg 파일을 각 곡별 재생 구간으로 잘라서 추출하면 된다.

ffmpeg -i output.ogg -acodec copy -ss "시작구간<00:00:00>" -to "종료구간<00:99:99>" "<파일명>.ogg"

그럼 각 파일별로 노래를 쪼개서 저장할 수 있으니 재생할 때 편하다.

Google Family Link가 적용된 안드로이드 폰 교체하기

이번에 자녀가 쓰는 스마트폰을 LG 폰에서 샤오미 폰으로 교체해 줬는데, Google Family Link가 설정돼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이전하는 데 애를 좀 먹었다. 그 과정에서 배운 몇 가지 팁.

  1. 각 스마트폰 제조사마다 제공하는 앱을 쓰는 것이 속편함

    LG 폰에 데이터를 이전해 주는 LG 모바일 스위치
    앱이 설치돼 있는데, ‘LG폰 to LG폰’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듯하다. 삼성 폰이라면 Smart Switch 앱을 쓰면 되는 것처럼 샤오미 폰으로 옮길 때는 각 폰에 Mi Mover 앱을 설치해서 옮기는 방법이 편리하다.

    안드로이드 폰은 잘 쓰지 않아서 그런지 몰라도 처음에 안드로이드 자체에 내장된 ‘기기 설정’으로 연결해서 데이터를 복사해 보려고 했는데 연결이 잘 안 되더라.

    결론적으로 각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그나마 속편하다는 결론.

  2. Google Family Link가 적용된 상태에서 기기 개발자 옵션 켜는 법.

    샤오미 폰에 기존의 다채로운 기본 앱들이 설치돼 있어서 찜찜하기도 하고 불필요해서 삭제하려고 보니 Google Family Link 때문에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할 수가 없더라.

    그래서 찾아보니 부모의 Google Family Link 앱에서 활성화하면 된다고 해서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활성화하는 메뉴가 있어서 활성화할 수 있었다.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한 후에 아래 글을 참조해서 불필요한 앱을 삭제했다.